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좋은 하루 다들 잘보내시고 계신지요? 이번 시간은 삼국지 위인 명언 및 좋은말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전체적으로 읽어주시면 삼국지 위인 명언 및 좋은말을 이해하게 되실 겁니다. 삼국지 위인 명언 및 좋은말이 궁금하시다면 모두 읽어주세요. 아래의 글에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심배→나는 살아서는 원씨의 신하요, 죽어서도 역시 원씨의 귀신이 될 뿐이다.
얻은들 기뻐할 게 무엇이며 잃은들 걱정할 게 무엇이랴.→유비 현덕

심배→내 주인이 북쪽에 계시는데 너희들이 어찌 나를 남쪽을 향해서 죽게 하느냐? 나를 북쪽으로 앉게 하라.
엄안→우리 촉중엔 목이 베이는 장수는 있어도 항복하는 장수는 없다.
주유→하늘은 이 주랑을 내리시고 어찌 또 공명을 내리셨나이까.

 



만총→지혜로운 새는 나무를 골라 둥지를 틀고, 지혜로운 신하는 주군을 잘 골라 섬긴다.
제갈량→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이나 그것을 이루는 것은 하늘이다. [모사재인 성사재천]


만은, 허도의 흙을 주군의 토봉에 뿌리지 못하고 가야하는 것이 진정 아프다.
의가 아닌 것을 취하기보다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편이 낫다.→관우 운장


대한[大漢]의 장수가 어찌 의[義]를 저버리고 오의 개에게 투항하겠느냐.→부동

 

부첨→살아서도 촉의 신하였으니, 죽어서도 촉의 귀신이 되겠다.


태사자→대장부로 세상에 태어나 7척 칼을 지니고 천자의 계단에 올라야 하거늘, 

아직 그 뜻을 실현하지 못했는데 어찌 죽으랴.

 

 

사냥꾼도 궁하여 품안으로 날아드는 새는 잡지 않는 법이다.→유비 현덕
관우→의가 아닌 것은 취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조운→간과 뇌장을 쏟아내도 주공의 은공을 갚을 수 없겠습니다. [간뇌도지]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 깃들이고, 지혜로운 신하는 주인을 가려 섬긴다.→만총

 

유비→처자는 의복과 같고 형제는 수족과도 같다. 의복은 떨어지면 꿰멜수 있지만 수족은 떨어지면 다시 돌이킬 수 없다.
적에게 항복하는 것은 내 갈길이 아니다.→우보


부동→대한의 장수가 어찌 의를 저버리고 오의 개에게 투항하겠느냐.

 

살아서도 촉[蜀]의 신하였으니, 죽어서도 촉의 귀신[鬼神]이 되겠다!→부첨


위연→남자는 자신을 알아주는 주인을 위해 죽는다. 반평생 중원을 떠돌아 

주군을 만났고, 이제 그를 위해 죽는다. 후회가 있을게 무엇이고, 미망이 있을게 무엇이것냐

 

이상으로 전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명작 삼국지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반응형